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영화 연련(戀鍊) 소개
작품 개요
| |||||
제목
| 연련(戀鍊) | ||||
장르 | 드라마, 가족영화, 음악영화, 독립예술영화 | ||||
주제 | 가족의 소중함과 삶의 성찰을 이야기함 | ||||
상영시간
| 126분 31초 | 규격 | DCP 4K Cinema Scope, 5.1CHannel | 상영등급 | 12세이상관람가 |
개봉 | 3월 27일 | 감독 | 강서곤 | 제공,제작,배급 | 나도밤보 주식회사 |
시놉시스 |
평안도 소리꾼 동련은 술과 노름에 빠져 절망적으로 살아가고, 아내 을운은 매일같이 동련의 폭언과 폭력에 시달리며 비참하게 살아간다. 어느날 아침, 을운을 때리고 집을 뛰쳐나간 동련은 투전판에 뛰어든다. 투전꾼에 속아 돈을 다 잃은 동련은 투전꾼 평진을 때려눕히고 투전방을 뛰쳐나가 산속으로 달아나지만 투전꾼 원중이 쫓아오자 한양으로 도망친다. 동련은 노자돈을 벌기위해 개성의 한 주막에서 한바탕 소리를 하자 사람들이 구름처럼 모여들고 이를 눈여겨본 해주 악사들이 동련을 자기 패로 끌어들여 한양으로 함께 가기로 약속한다. 길을 가던 동련과 해주 악사들은 날이 저물자 어느 주막에 들어가 묵게 되는데, 우연히 인근에서 들려오는 굿소리를 들은 동련이 주모에게 무슨 굿인지 물어보자 큰 돈이 걸린 진오기굿이라고 주모가 말한다. 돈이 탐이 난 동련은 주모에게 재가집(최순영 집)에 대해 묻는다. 죽은 딸 서연은 무남독녀 외동딸로 아버지 최순영과 어머니 부인 최씨로부터 사랑을 듬뿍 받고 자랐고, 총명하고 호기심 많은 소녀로서 당시 조선 여성답지 않게 절구경을 다녀올 정도로 진취적이었다. 서연은 일찌감치 중매를 통해 황해도 평산 부사의 아들과 혼인을 약속하게 되었고, 최순영과 부인 최씨는 딸 서연의 혼례날 만을 하루하루 기다리고 있었다. 그런데 혼례를 올리기 일주일 전 갑자기 서연이 미치고 발광하는 병에 걸려 목숨이 위태로워진다. 최순영은 딸을 살리기 위해 깊은 산에 들어가 산삼을 캐지만 끝내 서연은 아버지를 보지 못하고 죽는다. 이렇게 주모에게 서연의 살아온 내력을 파악한 동련은 해주 악사들과 잠자리에 들었는데 꿈 속에서 공명가를 부르는 서연을 만난다.
서연은 동련에게 미치고 발광해서 죽은 게 아니라 스님과 사랑에 빠져 마음의 병을 얻어 죽게 되었다며 진실을 아버지, 어머니께 전해달라고 한다. 아침이 되자 주막을 떠나려던 해주 악사들은 동련이 한양에 함께 가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고 크게 실망한다. 동련은 굿판이 벌어진 최순영의 집에 들어가 가짜 무당이 되어 굿을 한다. 무당이었던 어머니와 굿판 악사였던 아버지의 어깨너머로 보았던 굿을 마치 진짜처럼 굿을 하며 서연이의 살아온 내력을 말하자 이를 지켜보던 구경꾼들과 최순영, 부인 최씨도 깜쪽같이 속아 넘어간다. 그러나 얼마 후, 서연의 약혼자의 이름과 서연의 생일을 잘못 말해 가짜 무당이라는 것이 드러나게 되자 동련은 최순영의 하인들에게 죽도록 매를 맞게 된다.
다 죽어가는 동련에게 최순영이 가짜 굿을 하게 된 이유를 묻자, 동련은 재산을 고을 사또에게 다 빼앗기고 고문까지 당했던 처참한 신세를 고백하면서 돈이 필요해서 사기굿을 하게 되었다며 최순영에게 잘못을 사죄한다. 그리고 간밤 꿈에서 만난 서연이가 부른 공명가를 부른 뒤 스님과 사랑에 빠져서 죽게 되었다는 서연의 말을 전하자 최순영은 서연이 들려주던 공명가를 떠올리며 눈물짓는다. 최순영의 용서를 받고 집으로 돌아가던 동련은 지난날 시련을 이겨내지 못한
자신을 후회한다. 그리고 집에 도착하자 을운에게 그동안 저질렀던 잘못을
사죄하고 용서를 빈다. 끝까지 사랑을 놓지 않았던 을운은 동련에게 소리를 청하고, 동련은 을운을
위해 놀량을 부른다. | ||||
등장인물 | 서연(10대/여) 진취적이고 리더십이 강한 소녀. 서연은 젊은 스님 자경과 사랑을 한 후 애증과 불륜의 죄의식을 견디지 못하여 죽게 된다. 최순영(50대/남) 무남독녀 외동딸 서연을 끔찍히 사랑하는 최순영은 서연이 갑자기 죽을 병에 걸리자 서연을 살리기 위해 험한 구룡산으로 산삼을 캐러간다. 부인 최씨(40대/여) 서연의 어머니이자 최순영의 아내인 부인 최씨는 현모양처이다. 딸이 죽자 딸의 넋을 극락으로 보내기 위해 굿을 벌인다. 동련(30대/남) 아내, 딸과 행복하게 살아가던 평안도 소리꾼. 동련은 마을 사또에게 재산을 빼앗긴 후 절망에 빠져 살아가다가 한몫 잡아보려고 굿판에 뛰어든다. | ||||
제작배경 | 2014년 초, 세상살이가 너무 고달펐을 때 우연히 이은관 명창의 배뱅이굿을 듣게 되었는데 그때 세상 떠나신 어머니가 너무 그리웠다. 그리고 얼마후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영화로 만들어 보자는 결심을 하게 되었다. | ||||
특징 | 연련(戀鍊)의 공간적 배경은 평안도와 개성이며 등장인물들은 평안도, 황해도, 개성 사람들이며 출신 지역의 언어를 사용한다. 또한 연련(戀鍊)은 한국의 전통문화인 서도소리와 다리굿을 담고 있다. 서도소리와 다리굿은 이북 지방의 문화로서 오랫동안 전해 내려왔지만 6.25로 남북이 분단되면서 전승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연련(戀鍊)은 분단된 남북이 하나로 통일되기를 바라는 염원이 담겨있다.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